|
'Etc > Sc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늘 똑같이 행동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하고 있지는 않은가 (2) | 2010.08.10 |
---|---|
현재의 당신 (1) | 2010.08.09 |
전진하는 자의 벗 (0) | 2010.07.30 |
공로 없이 상을 받을 때는 상대의 의도를 따져봐야한다. (1) | 2010.07.29 |
일에 전념하라 (3) | 2010.07.15 |
|
늘 똑같이 행동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하고 있지는 않은가 (2) | 2010.08.10 |
---|---|
현재의 당신 (1) | 2010.08.09 |
전진하는 자의 벗 (0) | 2010.07.30 |
공로 없이 상을 받을 때는 상대의 의도를 따져봐야한다. (1) | 2010.07.29 |
일에 전념하라 (3) | 2010.07.15 |
"공로 없이 상을 받을 때나 이유 없이 남의 것을 받아 쓸 때는 상대방의 의도가 무엇인지 잘 따져 보아야 합니다." (26p) |
이훈범 지음 '역사, 경영에 답하다 - 서재에서 만나는 최고경영자 과정' 중에서 (살림Biz) |
'욕심'이 사람을 망칩니다. 약한 사람의 마음을 적이 노리고 들어오지요.
중국 춘추시대 위나라에 남문자라는 신하가 있었습니다. 하루는 진나라가 위나라를 공격할 마음을 먹고, 이를 위장하기 위해 준마 400마리와 벽옥 하나를 선물로 보냈습니다. 위나라의 왕과 신하들은 모두 기뻐하며 경사를 축하했지요.
하지만 남문자는 근심 어린 표정을 지었습니다. 이에 위 왕이 물었습니다.
"대국들이 사이좋게 지내는 것은 기쁜 일인데 무슨 걱정을 그리 하는가?" 남문자가 답했습니다.
"공로 없이 상을 받을 때나 이유 없이 남의 것을 받아 쓸 때는 상대방의 의도가 무엇인지 잘 따져 보아야 합니다. 준마 400필이나 큰 벽옥, 이런 보물을 기증하는 것은 약소국이 강대국에 취하는 일이지 진나라 같은 강대국이 우리 같은 약소국에 취하는 일이 아닙니다. 대왕께서는 이 일을 숙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왕은 남문자의 말을 듣고 국경을 더욱 철저하게 지키라고 명을 내렸습니다. 얼마후 진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위나라를 기습했습니다. 그러나 위나라의 방비가 엄한 것을 알고 물러날 수 밖에 없었지요. 진나라는 "위나라에 현명한 사람이 있어 계획을 알아챘구나"라며 개탄했다고 합니다.
끊임없이 보도되는 다단계나 금융 피라미드 사기, 투자 사기... 모두 사람의 욕심을 노린 것들입니다. 헛된 욕심에 현혹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의심해볼 수 있는 일들입니다.
공이 크지도 않은데 상을 받거나 이유 없이 다른 사람이 무언가를 준다면, 상대방의 의도를 잘 헤아려보아야 합니다. 일상사에서건 기업이나 국가경영에서건 그런 '현명함'이 있어야 위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분노와 화의 어리석음 (1) | 2010.08.06 |
---|---|
전진하는 자의 벗 (0) | 2010.07.30 |
일에 전념하라 (3) | 2010.07.15 |
상대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마인드 (1) | 2010.07.09 |
카를로 줄리니, "정명훈 군,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0) | 2010.06.15 |
며칠이 지난 후 그가 이 질문에 대해 잊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을 때 그는 나를 따로 불렀다. 그는 내가 질문했던 곡의 악보 첫 장을 펴 두고 있었다. 나 또한 악보의 첫 장을 펴 놓고 그가 입을 열기를 기다렸다.
잠시 후 그는 "정명훈 군,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는 그 말을 마음으로 받아들였고 그것을 30년 동안 간직하고 있다. 내가 한 질문에 대한 답은 음악가로서 각자가 찾아야만 한다는 것이 그가 말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결국 그는 내가 해낼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아낌없이 격려해 준 것이다. (321p) |
SBS 서울디지털포럼 사무국 엮음, 이원복 그림 '인사이트 2010 - 이야기 속의 디지털 시대' 중에서 (살림Biz) |
"정명훈 군,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던 위대한 지휘자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그가 젊은 정명훈이 한 질문에 대해 며칠 뒤에 해준 답입니다.
정명훈씨는 로스앤젤레스 교향악단에서 줄리니의 어시스턴트로 3년을 지냈습니다. 소심했던 그는 1년이 지나도록 감히 그에게 단 한 번도 질문을 할 수 없었지요. 그러던 어느 날 한 곡이 너무도 난해해 고민하다 마침내 질문을 했습니다.
"선생님, 왜 이 곡은 소리가 좋지 않을까요?"
줄리니는 당연히 즉시 답을 말해줄 실력이 있는 지휘자였지만,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번 생각해 보겠네. 그러고 나서 이에 대해서 다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지." 며칠이 지난 뒤 줄리니가 정명훈을 불러 해준 말이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정명훈 군,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그는 애송이 지휘자에게 이렇게 쉽게 말할 수도 있었습니다.
"클라리넷 소리를 더 높이고 호른은 조금 더 부드럽게 해 봐. 그럼 소리가 더 괜찮아질 거야." 하지만 줄리니는 그렇게 대답하는 대신 다른 방법을 택했지요. 믿음을 보여주었고,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주었습니다.
젊은 지휘자의 쉬운 질문 하나에도 진심을 다해 고민하며 응대해준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조급함에, 초조함에, 빠르고 쉬운 즉답을 찾으며 힘들어하는 우리에게 그가 이렇게 말해주는 듯합니다. "자신의 길을 찾게. 원래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네." - 예병일의 경제노트에서 |
일에 전념하라 (3) | 2010.07.15 |
---|---|
상대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마인드 (1) | 2010.07.09 |
터치 어플 관련 (0) | 2010.06.10 |
iphone 4G 연설 (0) | 2010.06.08 |
I'm yours (1) | 2010.05.27 |
지혜로운 사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자기가 무엇을 아는지 안다
2.자기가 무엇을 모르는지 안다
3.현재 이해와 지식 자체의 한계 안에서 자기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안다
4.위와 같은 한계 안에서 자기가 무엇을 알 수 없는지 안다 (226p)
-- 로버트 스턴버그 외 지음, 최호영 옮김 '지혜의 탄생' 중에서 (21세기북스(북이십일))
지식, 창의성, 지혜... 비슷한 듯하면서도 다른 덕목입니다. 어떻게 다를까. 저자의 표현이 흥미롭습니다.
우선 지적인 사람은 지식을 기억해내고 분석하고 사용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지식에 대한 좋은 기억력과 분석능력, 그리고 사용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이지요. 그래서 그는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합니다.
창조적인 사람은 기존 지식을 넘어서는 사람입니다. 기존의 지식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사람이지요. 이 사람이 기존 지식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 한계를 넘어서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지식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입니다. 지식의 의미와 그 한계를 이해하려 합니다. '지식에 대한 지식'이 뛰어난 것이지요.
그래서 지혜로운 사람은 자기가 아는, 모르는, 그리고 알 수 있는, 알 수 없는 지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그 지식이 삶에서 갖는 의미도 이해합니다. 가장 '행복'해질 수 있는 사람일 겁니다.
지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지혜로운 사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으십니까.
지식, 창의성, 지혜라는 세가지 덕목 모두를 갖추면 좋겠지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지혜로운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자신을 '성숙'시켜가면 좋겠습니다.
-- 예병일의 경제 노트에서
3년은 기본 (1) | 2010.05.13 |
---|---|
차근차근 한 걸음, 한 걸음 (1) | 2010.05.12 |
내 남자친구가 될 사람은 (1) | 2010.05.06 |
애인과 오래가는법 (0) | 2010.05.06 |
흙도 부드러워야 좋다 (1) | 2010.05.04 |